2025년 4월 마지막 주~5월 첫째 주(28일~3일) 미국 증시 일정 정리 – (FOMC·애플 실적·고용지표 발표)

🗓️ 4월 29일 (화) – 미국 주요 경제지표

  • 3월 무역수지 (Advance International Trade in Goods) 발표
    → 미국 상품 교역(수출·수입) 수치를 통해 경제 활동과 글로벌 수요 흐름을 파악할 수 있음.
  • 4월 소비자신뢰지수 (Consumer Confidence Index) 발표
    → 소비 심리가 경제 성장에 직접적 영향을 주기 때문에 주목할 지표.
    → 예상 대비 수치가 높으면 증시 호재로 작용 가능.

🗓️ 4월 30일 (수) – FOMC 회의 일정 및 고용지표 발표

  • 4월 ADP 민간고용보고서 (ADP Employment Change) 발표
    → 비농업부문 고용지표를 예측할 수 있는 선행 데이터.
    → 고용 증가가 강하면 증시 상승 요인, 약하면 침체 우려 부각 가능.
  • 1분기 국내총생산(GDP) 1차 추정치 발표
    → 미국 경제 성장률의 1차 잠정 수치.
    → 예상보다 낮으면 연준의 금리정책 방향에 영향을 줄 수 있음.
  • 3월 개인소득 및 소비지출 (Personal Income and Outlays) 발표
    → 소비자 지출이 전체 경제활동의 2/3를 차지하는 만큼,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큼.
  • 4월 시카고 구매관리자지수 (Chicago PMI) 발표
    → 제조업 및 경제 활동의 확장/위축 여부를 알 수 있는 지표.
  • 마이크로소프트(Microsoft) 1분기 실적 발표
    → AI 투자 성과와 클라우드 매출 성장세가 관건.
  • 메타플랫폼스(Meta Platforms) 1분기 실적 발표
    → 광고 매출 회복 여부와 메타버스 투자 계획이 주요 포인트.

🗓️ 5월 1일 (목) – 애플 실적 및 아마존 등 S&P500 추종 기업

  •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(Initial Jobless Claims) 발표
    → 미국 고용시장의 실시간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가장 빠른 지표.
  • 4월 ISM 제조업지수 (ISM Manufacturing Index) 발표
    → 50 이상이면 제조업 확장, 50 이하면 위축 신호로 해석됨.
    → 경기 선행성 지표로 매우 중요.
  • 3월 건설지출 (Construction Spending) 발표
    → 미국 부동산 시장 및 경기 회복 여부를 보여주는 데이터.
  • 애플(Apple) 1분기 실적 발표
    → 아이폰, 서비스 부문 매출과 인공지능(AI) 관련 전략 발표 주목.
  • 아마존(Amazon) 1분기 실적 발표
    → AWS 클라우드 부문 성장률과 소비자 리테일 매출이 핵심.
  • 엑손모빌(Exxon Mobil) 1분기 실적 발표
    → 에너지 가격 변동성과 정유·가스 수익성 주목.
  • 셰브론(Chevron) 1분기 실적 발표
    → 배당 증가 여부와 에너지 부문 성장성 점검 필요.

🗓️ 5월 2일 (금) – 미국 증시 변동성

  • 4월 비농업부문 고용보고서 (Nonfarm Payrolls) 발표
    → 미국 고용시장의 핵심 데이터.
    → 예상치를 크게 상회하거나 하회할 경우 증시 변동성 극대화.
  • 4월 실업률 (Unemployment Rate) 발표
    → 고용시장 전반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지표.
  • 캐터필러(Caterpillar) 1분기 실적 발표
    → 건설·광산장비 수요를 통해 글로벌 경기 분위기를 알 수 있음.
  • 엘리 릴리(Eli Lilly) 1분기 실적 발표
    → 당뇨병·비만 치료제 성장성과 신약 개발 파이프라인 주목.

🛑 2025년 4월 마지막 주~5월 첫째 주 주의사항

이번 주는 미국 증시가 경제지표기업 실적 발표를 동시에 소화해야 하는 만큼, 투자자들의 경계심이 높아질 가능성이 큽니다. 특히 FOMC 회의 결과고용지표 결과는 연준의 향후 금리정책에 대한 시장 기대를 크게 뒤흔들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주식시장, ETF, 금값, 달러 환율 모두 큰 변동성을 나타낼 수 있으니 포지션 관리에 유의해야 합니다.

📌 요약

  • 경제지표: ADP 고용, GDP 1차 추정, 비농업 고용 등 발표 예정
  • 기업실적: 애플, 아마존, 마이크로소프트 등 빅테크 실적 집중
  • 시장변수: FOMC 금리 동결 여부, 고용지표 서프라이즈 가능성
  • 투자전략: 변동성 확대 예상 → 분산투자·현금비중 고려

에서 더 알아보기

구독을 신청하면 최신 게시물을 이메일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.

Similar Posts

댓글 남기기